• icon
      img
      최고의 맛은 신선! NS푸드페스타 2025 막바지 준비 '한창'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a>">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Nanum+Gothic:wght@400;700&display=swap</a></a></a></a>'); /* 기본 설정 */ .ns-post-content { 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line-height: 2.1; color: #333; background: #fff; margin: 0; padding: 0; } .ns-post-content .container { max-width: 1000px; width: 10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 .ns-post-content .content { font-size: 14pt; padding: 20px; } .ns-post-content .content * { font-size: 14pt; } /* 이미지 공통 */ .ns-post-content .image-wrapper { position: relative; width: 100%; max-width: 1000px; margin: 0 auto; border-radius: 12px; overflow: hidden; box-shadow: 0 4px 8px rgba(0,0,0,0.1); } .ns-post-content .image-wrapper img { width: 100%; height: auto; display: block; object-fit: contain; } .ns-post-content .image-watermark { position: absolute; right: 10px; bottom: 10px; background: rgba(0,0,0,0.5); color: #fff; font-size: 7pt; padding: 5px 8px; border-radius: 5px; font-weight: 400; } /* 섹션 */ .ns-post-content .section { margin: 30px 0; } .ns-post-content .section h2 { font-weight: 700; color: #1a1a1a; border-left: 5px solid #ff4500; padding-left: 10px; margin: 0 0 15px; } .ns-post-content h3 { font-weight: 700; color: #1a1a1a; margin: 0 0 10px; } .ns-post-content p { margin: 0 0 1em 0; text-align: justify; } /* 병렬 레이아웃 */ .ns-post-content .parallel-section {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gap: 20px; } .ns-post-content .parallel-item {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gap: 20px; padding: 20px; border-radius: 12px; box-shadow: 0 2px 5px rgba(0,0,0,0.05); margin: 0 auto; background: #f7f7f7; } .ns-post-content .parallel-item:nth-child(1){ background:#f0f8ff; } .ns-post-content .parallel-item:nth-child(2){ background:#fffaf0; } .ns-post-content .parallel-item:nth-child(3){ background:#f5f5dc; } .ns-post-content .item-image { width: 100%;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gap: 20px; align-items: center; } .ns-post-content .item-content { text-align: justify; } @media (min-width: 600px){ .ns-post-content .parallel-item { flex-direction: row; align-items: flex-start; } .ns-post-content .parallel-item.reverse { flex-direction: row-reverse; } .ns-post-content .item-image, .ns-post-content .item-content { flex: 1; max-width: 50%; } } /* 슬라이더 */ .ns-post-content .slider-container { position: relative; overflow: hidden; border-radius: 12px; box-shadow: 0 4px 8px rgba(0,0,0,0.1); height: 300px; } .ns-post-content .slider-wrapper { display: flex; height: 100%; transition: transform 0.5s ease-in-out; } .ns-post-content .image-slide { flex: 0 0 100%;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height: 100%; } .ns-post-content .slider-wrapper img { max-width:100%; max-height:100%; object-fit: contain; border-radius: 8px; } .ns-post-content .slider-nav { position: absolute; top: 50%; transform: translateY(-50%); width: 100%;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padding: 0 10px; box-sizing: border-box; pointer-events: none; } .ns-post-content .slider-nav button { pointer-events: all; background: rgba(0,0,0,0.5); color:#fff; border:0; padding:10px; border-radius:50%; cursor:pointer; } /* 버튼 */ .ns-post-content .button-group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gap: 20px; margin-top: 40px; flex-wrap: wrap; } .ns-post-content .button-group a{ padding: 15px 30px; text-decoration: none; color:#fff; font-weight:700; border-radius: 8px; box-shadow: 0 4px 6px rgba(0,0,0,0.1); display: inline-block; } .ns-post-content .button-red{ background:#d11a2d; } .ns-post-content .button-yellow{ background:#f7b733; } 오는 26일부터 이틀 간 전북 익산 하림 퍼스트킨에서 펼쳐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문화축제 'NS푸드페스타 2025 in 익산' 개막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방문객들을 맞이하기 위한 막바지 준비 작업이 한창이다. 이번 축제는 ‘최고의 맛은 신선!’이라는 슬로건 아래, 먹고, 보고, 즐기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준비된다. 총상금 1억 원, 전국 요리 고수들의 치열한 경연 NS푸드페스타2024 현장 NS푸드페스타 2025의 백미 중 하나인 요리경연대회는 총상금 1억원 규모로, 첫날인 26일에는 일반인 대상 '미식 간편식' 부문(50팀)과 '조리전공 대학생' 부문(20팀) 경연이 진행된다. 특히 '미식 간편식' 부문에는 수도권 참가자를 비롯해 전국 각지의 지원자가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박효남 명장, 조우현 명장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요리 명장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공정하고 전문적인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외국인과 내국인이 참여하는 '글로벌 라면 경연'(20팀)과 아빠와 14세 미만 자녀가 함께하는 '아빠와 자녀 경연'(40팀) 등 특별 부문 경연이 열려 축제에 재미와 감동을 더할 계획이다. 오감을 만족시키는 풍성한 부대행사 스타 강연 및 쿠킹쇼 1일차에는 국내 급식 분야 전문가 이미영 셰프가 지역 특산물을 활용해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다양한 요리를 선보이는 쿠킹클래스를 진행한다. 현장을 찾은 관람객은 시연 과정을 가까이서 볼 수 있고 일부 메뉴를 직접 시식하는 기회도 갖게 된다. 2일차에는 한국사 대중 강연으로 잘 알려진 역사 강사 최태성이 무대에 올라 ‘음식과 문화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토크쇼를 펼친다. 최 강사는 음식이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문화적 자산임을 흥미롭게 풀어내며 남녀노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강연이 끝난 뒤에는 현장 참여자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소통하며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NS푸드페스타2024 현장 NS푸드페스타2024 현장 ❮ ❯ 다양한 체험 및 전시 부스 하림그룹의 주요 브랜드를 만나볼 수 있는 '하림그룹 브랜드존'과 '프레쉬마켓'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시식하고 특별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성수동에서 인기를 끌었던 '맥시칸 팝업'이 익산에서 미니 버전으로 재현되어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방문객들은 현장 이벤트를 통해 특별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NS푸드페스타2024 현장 지역, 청년과의 상생 프로그램 익산시와 함께하는 'Great IKSAN 청년창업 페스타 2025'가 열려 청년 창업기업의 제품을 선보이고 NS홈쇼핑 입점 상담 등 판로 개척 기회를 제공한다. '익산시 홍보존'에서는 지역 맛집을 소개하고 시식행사를 진행한다. 식품 산업 관계자부터 학생, 외국인, 일반 방문객까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식품문화 축제를 위한 준비가 익산에서 한창이다. 축제는 9월 26일(금)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이틀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참가비는 무료다. NS푸드페스타 2025 홈페이지 NS푸드페스타 2025 리플렛 const slider = document.getElementById('slider'); const wrapper = slider.querySelector('.slider-wrapper'); const slides = wrapper.querySelectorAll('.image-slide'); let currentIndex = 0; let intervalId; function updateSlider(){ wrapper.style.transform = `translateX(${-currentIndex * 100}%)`; } function startAuto(){ intervalId = setInterval(() => { currentIndex = (currentIndex + 1) % slides.length; updateSlider(); }, 3000); } function resetAuto(){ clearInterval(intervalId); startAuto(); } function nextSlide(){ currentIndex = (currentIndex + 1) % slides.length; updateSlider(); resetAuto(); } function prevSlide(){ currentIndex = (currentIndex - 1 + slides.length) % slides.length; updateSlider(); resetAuto(); } window.prevSlide = prevSlide; window.nextSlide = nextSlide; window.onload = startAuto;

      2025.09.19
      img
      국내 동물복지 축산을 선도하는 하림 (육계편)

      /* CMS 환경 내에서 스타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스타일 정의 */ #harim-news-content-wrapper h1, #harim-news-content-wrapper h2, #harim-news-content-wrapper h3, #harim-news-content-wrapper h4 { font-weight: 700; margin-top: 2.5em; margin-bottom: 1em; } #harim-news-content-wrapper h1 { font-size: 2.5rem; } #harim-news-content-wrapper h2 { font-size: 2.125rem; } #harim-news-content-wrapper h3 { font-size: 1.75rem; } #harim-news-content-wrapper h4 { font-size: 1.5rem; } #harim-news-content-wrapper p { margin-top: 1.5em; margin-bottom: 1.5em; } #harim-news-content-wrapper .force-mt-0 { margin-top: 0 !important; } #harim-news-content-wrapper ul { list-style-type: disc; padding-left: 2em; margin-bottom: 1.5em; } #harim-news-content-wrapper li { margin-bottom: 0.5em; } #harim-news-content-wrapper img { max-width: 100%; height: auto; border-radius: 0.75rem; } 국내 동물복지 축산을 선도하는 하림 (육계편) ✅ 하림, 국내 동물복지 축산 선도...인증 육계농장·도계장 보유 압도적 1위 하림은 동물복지 인증 육계농장과 도계장 점유율에서 압도적인 국내 1위를 기록하며 국내 동물복지 닭고기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5년 7월 현재 기준 국내 동물복지 인증 육계농장은 총 156개이며 이중 70%에 이르는 109개가 하림그룹 가금계열사(하림, 한강식품, 올품)들이 보유한 동물복지 인증 농장입니다. 그 뒤를 참프레와 동우가 잇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복지 인증 도계장 역시 국내 4곳 중 3곳을 하림그룹 가금계열사들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란?] 높은 수준의 동물복지 기준에 따라 인도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소·돼지·닭·오리농장 등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하고 인증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표시하는 제도입니다. 사육 단계에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를 실시하여 산란계(2012년), 양돈(2013년), 육계(2014), 젖소, 한육우, 염소(2015), 오리(2016)농장에 대해 인증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동물복지 육계농장 인증기준은?] 사육밀도: 계사 내 닭의 최소 사육밀도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육계·토종닭: 1㎡당 19수 이하 혹은 30㎏ 이하, 삼계: 1㎡당 35수 이하 혹은 30㎏ 이하) 건강 관리: 농장주는 닭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사료 및 급수 시설: 닭이 배고픔과 갈증 없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모래 등도 제공해야 합니다. 사육 환경: 닭의 정상적인 행동 표현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횃대(1,000수당 2m 이상)와 깔짚(바닥재)을 충분히 제공해야 합니다. 매일 최소 8시간 이상 밝게(明期) 해줘야 하고, 최소 6시간 이상 어둡게(暗期) 해줘야 합니다. 인도적 도태: 닭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인도적인 방식으로 도태(살처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관리자 의무: 농장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는 동물복지에 대한 교육을 이수하고, 농장 내 동물의 복지 수준을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이렇게 한 마리의 동물복지 인증 닭고기가 식탁에 오르기까지는 다양한 투자와 까다롭고 복잡한 인증절차를 통과해야 가능합니다. 하림은 안전한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을 최종 소비자의 식탁에 올리기 위해 사육·운송·도축 전 과정에 동물복지 요소를 도입해 동물복지 축산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축산물은 농장에서 만들어지고, 도축장에서 완성된다." 하림의 닭고기 생산 시스템은 동물복지 요소들이 완벽하게 접목돼 있고 최첨단 설비로 무장돼 있습니다. 먼저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축산농장에서 가축을 사육하는 것은 물론 동물운송 시 동물의 상해 및 고통을 최소화하도록 동물운송차량의 구조 및 설비 등 동물운송에 관한 세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도계시설에서 가공해야 동물복지 축산물로 인증되고 소비자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도계의 시작은 다 자란 닭의 운송에서부터 출발합니다. 동물복지 축산농장에서 건강하게 자란 닭들을 안전하고 스트레스를 최소화해 실어오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농장에서 닭을 포획하기 위해 다리를 잡고 거꾸로 들어 올리면 닭은 공포감을 느껴 스트레스가 극대화됩니다. 닭이 중심을 잡기 위해 날개를 퍼덕이는 과정에서 양계장 시설이나 닭들끼리 부딪히며 날개와 다리, 가슴에 멍·골절 등의 손상이 가해집니다. 하림은 자동으로 닭을 포획하는 오토캐칭(auto catching) 시스템을 통해 사람의 손이 아닌 기계로 자연스럽게 닭들을 모으고, 하림이 만든 전용상자에 실어 나릅니다. 닭들을 차에 싣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스트레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시스템입니다. 이것이 동물복지 운송의 시작입니다. 하림은 어리장이 아닌 자체적으로 만든 전용 이송상자(모듈박스)를 사용해 닭을 안전하게 운송합니다. 동물복지 인증 도계장에 도착한 닭들은 온도와 습도, 조명이 알맞게 맞춰진 계류장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됩니다. 이후 가스스터닝(Gas Stunning) 방식으로 잠이 든 상태에서 가공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동물복지 관련 시설과 설비들이 모두 갖춰진 도계장만 동물복지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축산물은 농장에서 만들어지고 도축장에서 완성됩니다. 도축가공의 수준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어떤 설비와 공정으로 축산물을 도축가공하느냐에 따라 품질이 확연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동물복지 인증 도계장에서 가공된 닭고기는 스트레스 최소화와 완벽한 방혈 등으로 최고 품질의 안전한 닭고기로 완성돼 소비자들을 찾아가게 됩니다. 하림이 동물복지 분야에 투자를 지속하는 것은 인류를 위해 모든 것을 내어놓는 동물들에게 쾌적한 사육환경을 제공하고 마지막까지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동물복지는 단순한 윤리 문제를 넘어 축산물의 안전과 품질, 근로자의 작업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실제 건강한 동물로 생산되는 축산물이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합니다. 국내에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도계장은 모두 4곳이며 이 중 3곳(하림 익산·정읍공장, 한강식품)이 하림그룹에서 운영하는 도계장입니다. 하림은 앞으로도 새롭게 추가하는 도계시설은 모두 동물복지 요소를 완벽하게 갖춘 동물복지 인증 도계장으로 건설할 계획입니다. 하림은 동물복지 축산을 더욱 확대해 생명의 가치를 높이고 국민들에게 건강하고 양질의 축산물을 공급하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입니다.

      2025.09.19
      img
      “오늘 낳은 달걀을 맛보세요” 하림, 신선 식품플랫폼 ‘오드그로서’ 출시

      • '당일 생산, 당일 출고'로 식품의 본질적 가치인 '신선함과 최고의 맛' 고객 식탁에 전달•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사슬 전 과정을 책임지는 C2C(Cut to Consume) 서비스 제공• "식품의 품질 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한민국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사슬 전 과정의 통합 경영 기반을 갖춘 하림그룹이 신개념 C2C(Cut to Consume) 서비스를 표방하는 신선 직배송 식품플랫폼 '오드그로서(ODD GROCER)'를 출시했다. '오늘 준비된 최고의 맛을 드립니다'라는 태그 라인을 내건 오드그로서는 ‘남다른(ODD) 식료품상(GROCER)’이라는 의미로 ‘당일 생산, 당일 출고’하는 식품특화 플랫폼이다. '식품의 본질적 가치는 맛에 있으며 최고의 맛은 재료의 신선함에서 나온다'는 하림의 식품 철학을 바탕으로 농장에서 수확해 손질한(Cut) 신선한 식재료나 식품을 소비자가 바로 주문해 먹을 수 있도록(Consume) 하는 일종의 ‘디지털 직거래 장터’라는 게 하림의 설명이다. 곡물 사료 축산 도축가공 식품제조 물류유통 판매에 이르는 식품사슬 전 과정을 시스템화한 하림은 1,500억원을 투자해 만든 온라인 첨단물류센터인 FBH(Fulfillment By Hairm)를 직접 운영하면서 이번 새로운 유형의 식품 플랫폼을 내놓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유통기업들이 운영하는 대부분의 식품전문 플랫폼과 달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의 입고, 보관, 포장, 출고, 배송, 반품 등 모든 과정을 처리하는 풀필먼트센터를 식품제조기업이 직접 운영함으로써 물류창고에서 지체되는 보관 과정을 없애 신선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맛의 '피크타임' 통해 식품의 '최고의 맛' 순간 전달오드그로서의 핵심 가치는 맛의 ‘피크타임(PEAK TIME)’을 최대한 지켜 최고의 맛을 고객에 전달하는데 있다. 피크타임은 식재료가 가진 가장 맛있는 순간을 지켜낸 상품으로, ‘당일 생산, 당일 출고’ 원칙을 적용한다. 달걀은 당일 산란, 닭고기와 오리고기는 당일 도계(압), 돼지고기는 도축 5일차(숙성 5일), 소고기는 부위별 최적 숙성을 거쳐 출고한다. 뿐만 아니라 쌀은 당일 도정, 참기름·들기름은 당일 착유, 샐러드는 당일 수확 원칙을 지킨다.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주요 식재료까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다. 당일 산란한 달걀, 당일 도계한 닭고기 등을 중간 유통 없이 소비자에게 곧바로 배송해 식재료 본연의 맛과 신선함을 전달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을 설명했다. 오드그로서는 하림의 식품철학인 ‘최고의 맛은 신선함에서 나온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탄생했다. 하림이 강조해온 ‘생산에서 식탁까지 책임지는 구조’와 오드그로서가 지향하는 ‘피크타임 직송’ 철학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 식재료가 가장 맛있고 신선한 순간을 지켜내 고객의 식탁에 전달하는 것이 두 철학의 공통된 목표다. ◆ C2C 서비스로 '진정한 신선함' 제공오드그로서는 ‘오늘 가장 신선한 식재료를 오늘 출고한다’는 원칙으로, 기존 식품 플랫폼과는 다른 유통 방식을 도입했다. 고객이 음식을 먹는 순간까지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농장에서 식탁까지 식품사슬 전 과정을 책임지는 C2C(Cut to Consume) 서비스가 그것이다. 농장에서의 수확∙도축∙도계 시점(Cut)부터 합포장∙직배송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객이 맛보는 시점(Consume)까지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신선 식품 직송 서비스 모델이다. 이는 유통단계의 축소와 물류 효율을 극대화한 D2C(Direct to Consumer) 시스템을 신선함의 가치까지 심화발전시킨 개념이다. 일반 식품 유통은 수확 후 유통과 보관 단계 등을 거쳐 식탁으로 가는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신선함과 맛은 반감되고 비용은 증가한다. 반면 오드그로서는 당일 수확한 식품을 곧바로 가정의 식탁으로 산지 직송하는 차별화된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 같은 직송 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는 하림이 온라인 첨단물류센터인 FBH(Fulfilment by Harim)를 직접 운영하기 때문이다. 하림 FBH는 식품 제조공장과 물류센터가 컨베이어벨트로 직결돼 있어 생산이 끝난 제품이 별도의 운송 과정 없이 곧바로 물류센터로 이동된다. 이곳에서 검수와 포장이 즉시 이루어진 뒤 당일 출고되기 때문에 창고 보관으로 인해 신선도가 떨어질 여지가 없다. 제조 직후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채 고객에게 전달되는 구조다. 특히 FBH는 소량의 식재료들을 여러가지 주문하는 1~2인 가구 고객들에게 상온 냉장 냉동 제품을 가리지 않고 하나의 박스에 합포장하여 배송하는 첨단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외부에서 입고되는 당일 산란 계란이나 당일 도계 닭고기 등 신선 식품의 경우도 이러한 FBH의 당일 출고 배송시스템을 통해 가장 신선한 상태로 고객의 식탁으로 전달된다. 소비자는 보관 과정의 지체 없이 ‘오늘 생산된 진짜 신선함’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식품의 가치사슬 전 과정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하림그룹의 역량을 통해서만 가능한 구조라는 설명이다. 특히 이러한 식재료의 신선함을 지키기 위해 물류센터와 인접한 지역의 농가 등과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매달 가장 맛있는 제철 식재료를 선보이는 ‘계절한입’ 상품은 인근 지역 농가와 협업을 통해 버섯에서 고구마, 햅쌀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당일 산란 계란도 지역 계란유통센터(GP)와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췄다. 고추, 깻잎, 애호박 등 채소의 경우도 익산원예농협 푸드지원센터와 협업해 신선한 채소를 공급받는다. 또한 오드그로서에서는 하림그룹 식품전문 계열사의 주요 브랜드 상품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닭고기(하림), 돼지고기(하이포크), 소고기(순우리한우), 오리고기(주원산오리)뿐 아니라 다양한 외부 브랜드 상품도 함께 판매한다. 외부 상품 역시 하림의 FBH 물류센터 내에서 자체 품질 관리를 진행하여 모든 상품의 신선 품질을 보장한다. ◆ 지역농가와 상생, 대한민국 식품산업 발전 기여오드그로서 관계자는 “오드그로서는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과정을 직접 책임지는 C2C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신선함을 제공할 것"이라며 "하림만의 차별화된 방식으로 식탁에서 매일 최고의 맛을 경험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준을 세워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 농가와 상생 및 식품의 품질 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한민국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편익 증대와 수입 식품으로부터 국내 시장을 방어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10
      img
      하림푸드,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첨단 식품가공 공장 착공 2천억 투자···2027년 가동 목표

      <하림푸드 신축 식품가공 공장 조감도>• 2,000억 투자 8월 착공…2027년 1단계 가동 목표• 다양한 육가공 제품 생산, B2B 토털 솔루션 플랫폼 기능도• 모기업 선진 및 하림그룹사 종합식품비즈니스 시너지 기대하림그룹 가족사인 ㈜하림푸드는 1일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위치한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53,614㎡(약 16,000평) 부지에 첨단 식품가공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하림푸드의 식품공장에는 총 2,000억원이 투자되어 다양하고 차별화된 육가공 제품들이 생산될 예정이다. 1,400억원이 투자되는 1단계 사업에서는 연면적 41,706㎡(약 12,630평) 규모의 가공공장에 첨단 육가공 설비들을 갖춰 2027년초 완공 및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림푸드는 이 식품공장에서 햄 소시지 베이컨 등 다양한 육가공 제품과 식생활 패턴 변화에 따라 수요가 급증하는 가정간편식, 패티, 반조리 식품 등 B2B 제품들을 생산 판매할 계획이다. 특히 신축 공장에는 최고 수준의 품질과 고도화된 위생 및 환경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최첨단 식품가공 설비와 디지털 및 AI 기반의 스마트 운용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고객이나 일반 소비자들이 공장의 첨단설비와 위생안전을 고도화한 제조공정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투어 라인이 조성되며 지붕형 태양광 발전설비를 갖춰 재생 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공장으로 구축되어 ESG 경영 실천의 모범적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하림푸드는 양돈 돈육전문기업인 ㈜선진의 자회사로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가공공장이 완공되면 기존 선진이 보유하고 있는 1공장(경기 이천), 2공장(충북 음성)과 더불어 3공장-18개 생산라인 체제를 갖춤으로써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선진과 하림푸드는 신규공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B2B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사업의 토털 솔루션을 확보함으로써 B2B 육가공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고기 등 축산 단백질 식품 및 가정간편식 등 종합식품기업으로 확장하고 있는 하림그룹은 하림푸드의 첨단 육가공 생산라인을 추가함으로써 식품사업에서 또 하나의 동력을 얻게 된다. 전북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식품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하림그룹은 익산 망성에 국내 최대의 닭고기 전문기업 ㈜하림, 익산 함열에 종합식품 기업 ㈜하림산업을 운영하는데 이어 이번 익산 왕궁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하림푸드 식품 공장을 건립함으로써 K-푸드 트라이앵글을 구축하여 국내 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이끌어 간다는 구상을 현실화하고 있다. 하림푸드의 신규공장 프로젝트는 지난 2023년 5월 정부로부터 전국 최초의 농·식품 융합형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이후 각종 인허가 등 체계적인 절차를 거쳐 착공함으로써 지역 특화산업을 추진하는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협력하여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하림푸드가 2027년 본격 가동하게 되면 지역에 200개 이상의 직간접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져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국내외 경영환경이 어려운 가운데 익산시의 미래 가치를 믿고 과감한 투자를 실행해 주신 하림푸드와 하림그룹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익산시는 투자 기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원배 하림푸드 대표는 “50년 전 양돈업으로 시작한 선진은 육가공 사업만으로도 4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면서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식품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끝>[참고자료]1. 하림푸드 신축공장 건축 개요2. 하림푸드 신축 식품공장 입지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내에 건립하는 하림푸드의 첨단 식품가공공장 부지(16,000여평) 부지 전경. 2025년 8월 착공하여 2027년 완공할 예정이다.3. 하림 푸드 트라이앵글 구축 익산 왕궁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하림푸드가 첨단 육가공종합식품 가공공장을 건립하면서 하림그룹은 전북 익산지역에 ㈜하림의 치킨전문 종합식품센터(익산 망성), 신선 가공식품 전문 하림 퍼스트키친(익산 함열)을 연결하는 푸드 트라이앵글을 완성하게 된다. 하림의 식품 삼각편대는 K-Food의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는 전진기지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9.01
      img
      G마크가 보증하는 ‘한강식품’과 ‘순우리한우’, 남다른 품질의 비밀은?

      혹시 ‘G마크’에 대해서 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장 볼 때 포장지 위에서 스치듯 본 이 초록색 마크, 사실은 소비자에게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는 확실한 인증 마크입니다. 경기도 내 각급 학교들도 학생들을 위한 급식 재료를 구매할 때 G마크 획득 여부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합니다. 수도권 유일의 초신선 닭고기와 소고기를 생산하는 하림그룹의 한강식품과 순우리 역시 이 까다로운 경기도 G마크 인증을 획득했다는데요. ✔️ 경기도 G마크란 무엇인가요? .video-wrapp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 16:9 비율 유지 */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880px; /* 최대 너비 제한 */ margin: 0 auto; } .video-wrapper iframe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 G마크란?경기도지사(Governor)가 품질을 보장하는(Guaranteed), 우수하고(Good), 환경친화적인(Green) 농산물에게만 부여되는 인증 제도입니다. 실제로 경기도 G마크는 경기도 내에서 생산되는 안전하고 우수한 농수축산물에게만 부여됩니다. 인증심사에서 아래의 엄격한 기준들을 통과해야만 비로소 G마크 인증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G마크, 인증 요건과 심사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완제품 출시 후 최소 6개월 이상의 판매내역 필요✅ 친환경 인증, HACCP, 무항생제축산물,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등 국가 인증 필수✅ 식품 안전성ㆍ위생ㆍ품질ㆍ유통ㆍ사후 관리 등 시에서 지정한 종합심사 기준 통과✅ 도내 5농가 이상이 브랜드에 참여해야 하고, 세부적인 규모 기준을 준수해야 함 (예시 : 육계의 경우 30만수 이상 규모 유지 필수) 먼저 신청 기업은 사업장 소재지 시·군에 신청서를 제출해 1차 검토를 받습니다. 시·군은 이를 확인 및 검토 후 이상이 없을 경우 경기도농수산진흥원에 공문을 제출합니다. 여기서 통과되면 진흥원과 소비자단체가 함께하는 엄격한 현장 실사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우수식품 인증심의회에서 최종 심의까지 통과해야만 비로소 G마크 인증을 받을 자격이 주어집니다. 인증 기간은 2년입니다. 이렇게 까다로운 인증의 인증을 거쳐 통과된 건강한 농수축산물만이 비로소 G마크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 G마크가 보증하는 한강식품, 순우리!하림그룹 계열사인 한강식품과 순우리도 이러한 까다로운 인증심사 절차를 통과한 뒤 G마크 인증을 취득하였는데요. 인증품목 및 인증기간 (2025.07.22 기준, G마크 인증업체 목록)✅ 한강식품 : 닭고기, 최초 인증 2007년부터~ 계속✅ 순우리 : 한우고기, 최초 인증 2008년부터~ 계속 그렇다면 한강식품과 순우리는 어떻게 엄격한 기준을 통과하고 인증을 받을 수 있었을까요? 🐔 수도권 유일의 최첨단 동물복지 도계시스템, 한강식품 .video-wrapp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 16:9 비율 유지 */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880px; /* 최대 너비 제한 */ margin: 0 auto; } .video-wrapper iframe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한강식품은 2021년 최첨단 동물복지형 닭고기 공장을 완공해 최고 품질의 닭고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미 2007년부터 경기도 G마크를 인증받아 위생과 안전성을 대외적으로 공인받았습니다. 실제로 한강식품은 국내 최고 수준의 동물복지 도계 시스템과 에어칠링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1등급 이상의 닭고기만을 공급하고 있는데요. 또한,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에서 권고하는 작업장 온도인 15℃보다 더욱 낮은 8℃로 공장 내 작업장 온도를 엄격하게 유지하며 위생적으로 우수하고 안전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강식품은 평소에 보기 어려운 최첨단 닭고기 생산 공정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HCS투어(Hangangfood Chicken Story · 한강식품 치킨 스토리)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는데요. 한강식품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누구나 견학신청이 가능합니다. 🐂 패밀리 팜과 함께 만들어내는 완벽한 품질, 순우리한우 <사진 출처 : 패밀리팜 운영 현황, 순우리 홈페이지> 초신선 소고기 전문기업인 순우리도 이미 2008년부터 경기도 G마크를 인증받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순우리는 14년부터 엄격한 한우 사육 기준을 바탕으로 ‘패밀리 팜’ 사업을 시작해 전국에 약 40여곳의 협력 농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예로 하림중앙연구소에서 개발한 전용사료를 급여함으로써 한우의 맛과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스마트팜 기술을 도입해 농장 내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우사육관리앱 ‘한우방’을 직접 개발함으로써 한층 더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순우리 용인 신공장 전경>최근 순우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덕성산단2로에 최신 설비를 갖춘 신공장을 확장 이전하였는데요. 앞으로 더욱 엄격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남다른 품질의 비밀, 하림그룹의 식품철학에 있다!한강식품과 순우리가 G마크 인증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단순히 인증기준을 충족했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바로 ‘최고의 맛과 신선함’을 구현하고자 하는 하림그룹의 식품철학을 바탕으로 일관된 노력을 지속해왔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두 기업은 G마크 인증을 비롯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최고 품질의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나아갈 것입니다. 😊 출처 : 한강식품, 순우리[🎵 오디오 뉴스 : G마크, 하림그룹의 신선한 식품 이야기]*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리서치 어시스턴트 구글 노트북LM을 이용해서 제작한 팟캐스트입니다.

      2025.07.31
      img
      팜스코, 국내 양돈 생산성 ‘신기원’…합천GGP, PSY 33.9두 달성

      사료곡물 등 대부분의 원부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각종 규제가 많은 척박한 축산 환경. 이는 대한민국 양돈 산업의 오랜 굴레였습니다. 그러나 2025년, 축산식품 전문기업 팜스코가 이 한계를 정면으로 돌파하며 '불가능'으로 여겨지던 벽을 허물었습니다. 바로 양돈 생산성의 핵심 지표인 'PSY 30두'의 벽입니다.이는 단순한 숫자 경신을 넘어, 척박한 한국 축산업의 현실 속에서 이뤄낸 '사건'에 가깝습니다. 하림그룹의 '글로벌 생산성 1위'라는 담대한 비전이 양돈 부문에서 마침내 현실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한 것입니다. 하림그룹은 이미 국내 브랜드 돈육 시장에서 확고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습니다. 팜스코의 '하이포크'와 선진의 '선진포크'는 국내 시장을 대표하는 브랜드 돈육으로, 이 두 회사는 2024년 한 해 동안 197만두의 비육돈 취급두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4년 국내에서 도축된 전체 돼지 마릿수 1,901만 마리 중 10.4%에 달합니다.브랜드 돈육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팜스코가 양돈 생산성 부문에서 써 내려간 새로운 역사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 생생한 기록을 들여다봅니다. 🐖 평균의 한계를 넘어서다: 경이로운 수치, PSY 33.9양돈 농가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지표 PSY(Pigs Weaned per Sow per Year·모돈당 연간 이유두수)는 어미돼지 한 마리가 1년 간 얼마나 많은 새끼를 건강하게 젖 떼 키워내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숫자는 곧 농장의 기술력, 번식 능력, 그리고 수익성과 직결되는 심장과도 같습니다.2025년 상반기, 팜스코는 직영 농장 3곳에서 평균 PSY 30.1두라는 믿기 힘든 성적표를 받아 들었습니다. 특히 씨돼지(GGP) 농장인 합천GGP는 2025년 5월, PSY 33.9두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합천GGP는 또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연속 안정적으로 PSY 33두를 돌파했습니다.이 성과가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아래 비교표를 보면 한눈에 그 위상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SY 기록표 /* 기본 body 스타일 */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margin: 0; padding: 1em; background-color: #f9f9f9; -webkit-font-smoothing: antialiased; -moz-osx-font-smoothing: grayscale; } h1 { text-align: center; color: #333; } /* 테이블을 감싸서 작은 화면에서 가로 스크롤이 가능하게 하는 래퍼(wrapper)입니다. */ .table-wrapper { overflow-x: auto; /* 핵심 속성: 내용이 넘칠 경우 가로 스크롤바를 생성합니다. */ -webkit-overflow-scrolling: touch; /* iOS에서 부드러운 스크롤 효과를 줍니다. */ border-radius: 8px; box-shadow: 0 2px 8px rgba(0,0,0,0.1); margin: 20px auto; } /* 테이블 자체의 스타일 */ .table-container { width: 100%; /* 테이블이 래퍼의 전체 너비를 차지하도록 설정합니다. */ min-width: 600px; /* 테이블의 최소 너비를 지정하여 내용이 너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border-collapse: collapse; font-size: 14px; } .table-container th, .table-container td { border: 1px solid #ddd; padding: 12px 15px; /* 가독성을 위해 패딩을 조정했습니다. */ text-align: center; white-space: nowrap; /* 셀 안의 내용이 줄바꿈되지 않도록 하여 레이아웃을 유지합니다. */ } .table-container th { background-color: #fcd6de; /* 연한 핑크 (돼지 느낌) */ color: #333; font-weight: bold; } /* 가독성을 위한 줄무늬 스타일 */ .table-container tbody tr:nth-child(even) { background-color: #fff6f8; /* 연핑크 줄무늬 */ } .table-container tbody tr:nth-child(odd) { background-color: #fefcfd; } /* 강조 스타일 */ .table-container td strong { color: #c0392b; /* 진한 핑크 강조 */ } 구분PSY(두)기록 시점출처 한국 (평균) 22.3 2024년 한돈미래연구소 한국 (사례) 30.1 2025년 상반기 팜스코 직영농장 한국 (사례) 33.9 2025년 5월 팜스코 합성GGP 한국 (최고) 34.0 2021년 ~ 2022년 우성농업회사법인 유럽연합 (평균) 30.1 2024년 InterPIG 보고서 덴마크 (평균) 35.6 2024년 덴마크 농업식품부 덴마크 (사례) 40.3 2016년 브란드(Brand)농장 네덜란드 (사례) 38.0 2024년 12월 뱅커스농장 표에서 보듯, 팜스코의 평균 성적(30.1두)은 대한민국 평균(22.3두)을 압도할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주요국의 평균 생산성과 어깨를 나란히 합니다. 나아가 합천GGP의 최고 기록(33.9두)은 국내에서는 비교 대상을 찾기 힘든 독보적인 위치에 있음을 증명합니다. 🐖 '기본'과 '혁신'의 조화가 빚어낸 쾌거어떻게 이런 '기적'이 가능했을까요? 팜스코는 그 비결이 ‘기본’에 대한 철저함과 ‘혁신’을 향한 과감한 투자의 조화에 있다고 말합니다.✅ 철통 같은 방역: 질병을 원천 차단하는 강도 높은 방역 시스템은 모든 성과의 전제조건이었습니다.✅ 과학적 사양관리: 50년 노하우가 응축된 표준관리기준서(SOP)와 축산과학연구소의 데이터 기반 정밀 영양 관리는 돼지 한 마리 한 마리를 최적의 상태로 이끌었습니다.✅ 미래를 향한 투자: 수세식 재순환 돈사와 같은 최신 스마트 축산 시설을 과감히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했습니다.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아무나 넘볼 수 없는 생산성의 금자탑을 쌓아 올린 것입니다. 🐖 도전은 계속된다: 세계 최고를 향한 ‘PSY 40두’팜스코의 시선은 이미 다음 목표를 향합니다. 바로 ‘대한민국 최초 PSY 40두’라는, 세계 최고를 향한 새로운 도전입니다.이는 위 표에 있는 양돈 선진국 덴마크(35.6두)와 네덜란드의 최상위 농가(38두)마저 넘어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No.1'을 달성하겠다는 담대한 선언과도 같습니다. 합천GGP의 압도적인 생산성을 바탕으로 우수한 유전자를 계열 농장에 공급하고, 다산성 모돈 관리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입니다.팜스코의 도전이 성공한다면, 이는 기업의 이익을 넘어 한돈 자급률을 높이는 국가적 이익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팜스코가 이뤄낸 PSY 30두 달성은 대한민국 양돈 산업의 변곡점이자,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자신감의 증거입니다. 이제 PSY 40두라는 더 높은 파도를 향해 돛을 올렸습니다. 담대한 항해가 대한민국 한돈 산업을 어디까지 이끌고 갈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끝>[생소한 양돈용어, 알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링크 출처: 돼지배움터> [🎵 오디오 뉴스 : 팜스코, 국내 양돈 생산성 '신기원']*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리서치 어시스턴트 구글 노트북LM을 이용해서 제작한 팟캐스트입니다.

      2025.07.31
      img
      🐔하림 삼계탕, 세계로 전하는 K-컬처 한 그릇

      ✨요점만 쏙!✅ 매년 여름 사랑받는 전통 보양식 삼계탕=한국인의 문화가 담긴 음식✅전통 삼계탕을 가정 간편식으로 더 편리하고 더 맛있게 만든 하림✅해외에 삼계탕을 수출하며 K-컬처를 알리는데 앞장서는 하림초복은 음력 기준 삼복 중 첫 번째 복날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기온이 오르며 지치기 쉬운 이때, 자연스레 보양식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그리고 매해 복날마다 가장 많이 떠오르는 음식, 바로 ‘삼계탕’입니다. ​ ☀삼계탕은 더운 날씨를 정면으로 이겨낸다는 ‘이열치열’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자, 지금은 여름철 대표 보양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에 따르면, 매년 7월 삼계(삼계탕용 600~800g 육계)의 도축량은 평월 대비 약 두 배 가까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전체 월 평균 삼계 도축량은 약 1,473만 마리였으며, 같은 해 7월 도축량은 약 2,810만 마리로 집계되었습니다. 즉, 7월 도축량은 연평균 대비 약 1.91배 많았던 것으로 나타납니다.삼계탕은 오랜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건강식으로 이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보양식으로서 K-컬처의 인기로 세계에서도 주목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한국의 맛을 세계에 전하고 있는 하림이 있습니다. 📍 삼계탕=한국인의 문화가 담긴 전통 보양식 삼계탕이라고 하면 대부분 ‘닭 안에 인삼과 찹쌀이 들어간 보양식’을 떠올립니다. 실제로 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삼계탕은 통닭의 복강에 찹쌀, 인삼, 마늘, 대추 등을 넣고 육수를 채운 후, 밀봉·살균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한 식품으로 정의됩니다. 삼계탕은 전 세계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닭고기 기반의 보편적인 건강식이자, 다양한 식물성 재료가 어우러진 조화로운 메뉴입니다. 한국의 식문화와 전통 레시피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단순한 음식이 아닌 한국인의 문화가 담긴 전통 보양식입니다.📍 더 편리하게, 더 맛있게! 하림이 만든 삼계탕하림은 이러한 전통 삼계탕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간편식으로 더 편리하고 더 맛있게 만들었습니다. 😋갓 잡은 신선한 닭으로 만든 하림 삼계탕 <도계와 가공공장/보관시설이 동일부지(One site)에 자리해 연계공정이 이뤄지는 ㈜하림 도계가공공장>하림은 막 도계한 신선한 닭고기를 사용해 24시간 이내에 삼계탕을 만듭니다. 이러한 방법이 가능한 이유는 하림은 신선공장과 육가공공장이 연결된 원웨이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림 삼계탕은 당일 생산한 신선한 닭고기를 원료 창고나 대리점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가공에 들어갑니다. <도계 후 24시간 이내에 만드는 하림 삼계탕과 일반제조사/일반 음식점 제조 공정 비교> 이는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여기에 국내산 수삼, 마늘, 찹쌀, 대추 등 7가지 자연 재료만을 사용합니다. 화학첨가물 없이 4시간 이상 끓인 콜라겐이 풍부한 닭발 육수로 깊고 진한 맛을 더했습니다. 😋급속냉동으로 갓 끓인 삼계탕의 맛을 그대로 보존한 하림 ‘냉동’ 삼계탕 맛있게 만든 삼계탕은 완성 후 80분 이내에 영하 35℃ 이하에서 급속냉동하는 방식으로 갓 끓인 맛과 육즙을 그대로 보존합니다. 영하35℃ 이하의 온도에서 급속동결을 시켜야 제품의 조직 내 수분이 미세하게 얼어 가정에서 조리해서 먹을 때 수분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래야 쫄깃한 식감이 됩니다. <하림 삼계탕 제조 공정>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한 레토르트 삼계탕과 맛에서도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레토르트 삼계탕은 미생물을 멸균하기 위해 고온(120℃ 이상)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뼈가 거의 부스러지고 살이 흐물거리는 상태를 보입니다. 반면 냉동 삼계탕은 저온(90~95℃)의 온도에서 짧은 시간 열처리를 해 냉동하기 때문에 육질이 살아 있어 맛에서 차이가 납니다. 📍 세계인의 식탁으로 간 K-보양식, 하림 삼계탕하림은 현재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대만 등 다양한 국가에 삼계탕을 수출하고 있으며 국내 삼계탕 수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하림의 삼계탕 수출 실적을 보면, 2021년에는 약 59.7억 원 수준이었던 수출액이 2022년에는 72.6억 원, 2023년에는 78.6억 원, 2024년에는 82.8억 원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하림은 미국 FDA, 캐나다 CFIA(식품검사청) 인증을 획득하고, 유럽연합(EU) 실사단의 현장 점검을 통과한 바 있어, 글로벌 식품 기준에 부합하는 위생성과 안정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런 국제적 신뢰도는 하림 삼계탕의 지속적인 수출 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에 삼계탕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도계와 가공과정을 해당국가의 식품위생 및 검역당국으로부터 검증을 받아야 하는데 그 조건이 아주 까다롭습니다. 하림 도계가공공장은 당연히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인증을 받았습니다. 📍 하림 삼계탕, 한 그릇에 담긴 K-컬처의 힘삼계탕은 단순한 보양식을 넘어, 한국의 식문화와 지혜가 담긴 특별한 음식입니다. 하림은 우리나라 삼계탕의 우수성을 알리며 한식 세계화에 앞장서는 등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위상을 높여가고 있습니다.👣자료 출처 -삼계 도축량 추이: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삼계탕 정의 및 규격 출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삼계탕 공정 영상: Yummy Yammy-삼계탕 수출액: ㈜하림-삼계탕 이미지: 하림몰

      2025.07.18
      img
      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인포그래픽 /* Custom font for better Korean display */ body { font-family: 'Inter', sans-serif; background-color: #f8f8f8; /* Light background */ color: #333; } /* Custom styles for infographic elements */ .card {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1rem; /* Rounded corners */ box-shadow: 0 4px 12px rgba(0, 0, 0, 0.08); /* Subtle shadow */ padding: 1.5rem; margin-bottom: 1.5rem; } .section-title { font-size: 1.75rem; /* text-3xl */ font-weight: 700; /* font-bold */ color: #3b82f6; /* Blue color for titles */ margin-bottom: 1.5rem; text-align: center; } .subsection-title { font-size: 1.25rem; /* text-xl */ font-weight: 600; /* font-semibold */ color: #1f2937; /* Darker gray */ margin-bottom: 1rem; border-bottom: 2px solid #e5e7eb; /* Light border */ padding-bottom: 0.5rem; } .data-point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padding: 0.5rem 0; border-bottom: 1px dashed #e5e7eb; } .data-point:last-child { border-bottom: none; } .data-label { font-weight: 500; color: #4b5563; } .data-value { font-weight: 700; color: #1f2937; } .percentage-change { font-size: 0.875rem; /* text-sm */ font-weight: 600; margin-left: 0.5rem; } .increase { color: #22c55e; /* Green for increase */ } .decrease { color: #ef4444; /* Red for decrease */ } .neutral { color: #6b7280; /* Gray for neutral */ } /* Chart simulation styles */ .chart-bar-container { display: flex; align-items: flex-end; height: 100px; /* Fixed height for bars */ gap: 0.5rem; margin-top: 1rem; margin-bottom: 1rem; } .chart-bar { background-color: #60a5fa; /* Blue bar color */ width: calc(100% / 5 - 0.4rem); /* For 5 bars */ border-radius: 0.25rem 0.25rem 0 0; position: relative;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justify-content: flex-end; align-items: center; transition: height 0.5s ease-out; } .chart-bar-label { position: absolute; top: -1.5rem; font-size: 0.75rem; /* text-xs */ color: #4b5563; white-space: nowrap; } .chart-bar-value { position: absolute; bottom: -1.2rem; font-size: 0.75rem; /* text-xs */ color: #1f2937; font-weight: 600; white-space: nowrap; } .chart-lege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around; font-size: 0.875rem; /* text-sm */ margin-top: 1rem; color: #4b5563; } .chart-legend-item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 .chart-legend-color { width: 12px; height: 12px; border-radius: 50%; margin-right: 0.5rem; } 🥚 2020-2024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 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1. 계란 기본 상식 🥚 계란 중량 규격 왕란: 68g 이상 특란: 60g 이상 ~ 68g 미만 대란: 52g 이상 ~ 60g 미만 ※ 중량은 규격별로 8g 단위로 차이 시중 판매 계란 10개들이: 주로 특란 (최소 600g 이상) 15개들이: 주로 대란 (최소 780g 이상) 크기와 맛/품질 크기가 작고 주령대가 높지 않은 계란이 껍데기가 단단하고 점도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선함이 더합니다. 알이 크다고 품질이나 맛이 더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쌍란 노른자가 두 개인 계란으로, 암탉 난소에서 난포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2. 산란계 사육 동향 🐓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만 마리) 2020 7,354 2021 6,783 2022 7,339 2023 7,555 2024(p) 7,900 2024년(p) 7,900만 마리 (2023년 대비 4.6% 증가) 산란계 사육 가구수 (가구) 2020년 947 2021년 895 2022년 942 2023년 943 2024년(p) 951 (▲ 0.9%) 가구당 사육 마릿수 (마리/가구) 2020년 77,676 2021년 75,820 2022년 77,921 2023년 80,000 2024년(p) 83,000 (▲ 3.6%) 3. 계란 생산 및 소비 동향 📈 국내 계란 생산량 (천 톤) 2020년 722.3 2021년 684.9 2022년 706.9 2023년 741.7 2024년(p) 776.7 (▲ 4.7%) 1일 평균 계란 생산량 (만 개) 2020년 4,612 2021년 4,199 2022년 4,492 2023년 4,697 2024년(p) 4,929 (▲ 4.7%) 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kg) 2020년 13.9 2021년 14.0 2022년 13.8 2023년 14.4 2024년(p) 15.2 (▲ 5.4%) 계란 가공품 수입 동향 수입량 (톤) 2020년 4,506 2021년 (급증) 37,051 2022년 7,036 2023년 4,450 2024년(p) 9,376 (▲ 110.7%) 총 수입 금액 (천 달러) 2020년 17,624 2021년 (급증) 124,028 2022년 33,942 2023년 31,874 2024년(p) 33,535 (▲ 5.2%) ※ 신선란은 2024년 1월 미국산 70톤 수입 외 추가 수입 없음. 4. 계란 가격 동향 💲 평균 계란 산지가격 (원/특란 10개) 2020년 1,106 2021년 1,797 2022년 1,636 2023년 1,613 2024년(p) 1,636 (▲ 1.4%) ※ 가격 변동 요인: 연초 재고 확보, 설 성수기 수요, 여름철 폭염 등 평균 계란 소비자가격 (원/특란 10개) 2020년 1,794 2021년 2,316 2022년 2,210 2023년 2,164 2024년(p) 2,186 (▲ 1.0%) ※ 가격 변동 요인: 연초 대형마트 할인 행사, 여름철 이후 산지가격 변동 등 5.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영향 🚨 2023/24년 HPAI 발생 (2023.12.3.~2024.5.23.) 총 농장 발생: 32건 (산란계 농장 15건) 총 살처분 마릿수: 363만 마리 (산란계 275만 마리,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3.6%) 2024/25년 HPAI 발생 (2024.10.29.~2025.1.14.) 총 농장 발생: 25건 (산란계 농장 10건) 총 살처분 마릿수: 184만 마리 (산란계 112만 마리,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1.4%) 종합: 2024/25년 HPAI는 이전 시즌에 비해 발생 건수와 살처분 규모가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주요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 중 산란계가 평균 6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6. 소비자 계란 소비 패턴 (2024년 기준) 🛒 가정 내 계란 소비 변화 늘었다: 46.5% 변화 없음: 50.2% 줄었다: 3.3% 소비 증가 이유: 손쉽게 구입/요리 (49.4%), 단백질 등 영양 풍부 (43.0%) 계란 구입 시 고려 요인 신선도: 28.4% 판단 기준: 유통기한/산란일자 (36.2%), 냉장유통 (24.5%), 외관상태 (22.0%) 가격: 24.8% 정부 인증마크: 15.3% 안전성 기준: 무항생제 (32.6%), 동물복지 (23.0%), HACCP (22.7%) 계란 주요 구입 경로 대형마트: 50.5% SSM: 29.0% 온라인: 10.7% (2023년 9.2%에서 증가) 산란일자 표시제 영향: 2024년 계란 구입 시 산란일자를 확인하는 소비자 비중 73.6% (전년 대비 증가). 시행 이후 계란 안전성 신뢰도 66.0%로 긍정적. HPAI 발생 이후 계란 소비 변화 (2024년 10월 이후): 변화 없음: 85.0% (국산 가금산물 안전성 신뢰 70.4%) 소비 감소 이유: HPAI 안전성 우려 (69.8%), 가격 상승 (15.1%) 7. 2025년 계란 수급 전망 🔮 주요 지표 전망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7,751만 마리 (▼ 1.9%) 1일 평균 계란 생산량 4,972만 개 (▲ 0.9%) 평균 계란 산지가격 1,625원 (▼ 0.7%) 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15.4 kg 산란계 사육면적 조정 영향 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되는 사육면적 조정 (0.05㎡/마리 → 0.075㎡/마리)으로 인해, 총 사육 마릿수 및 계란 생산량은 감소한 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핵심 요약: 사육 면적 확대는 장기적으로 동물 복지 향상과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료 출처: 2024 농식품부 주요 통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 농업전망

      2025.07.15
      img
      ‘3분에 하나씩’...한강식품 '꼬꼬 닭발’, ‘초신선 원료+특제소스’로 미식가 사로잡다!

      • 출시 2개월 만에 3만6,000팩 판매...재구매율 70% 돌파• ‘불향과 단짠의 조합을 이룬 중독성 있는 맛’ 호평 • “우리가 생산한 초신선 닭고기로 직접 만든 최고의 맛 ‘닭발 요리’ 자부심”‘라이벤 선글라스’를 쓴 트랜디한 닭 캐릭터, 출시 후 3분 만에 하나씩 판매, 재구매율 70% 돌파. 최근 애주가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한강식품의 ‘꼬꼬 닭발’ 2종(꼬꼬 연탄 무뼈 닭발·꼬꼬 포차 국물 닭발) 이야기입니다. 멈출 수 없는 중독적인 맛으로 소비자들의 뜨거운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5월 홈플러스에 출시된 이 제품들은 쫄깃하고 탱탱한 닭발의 식감과 한 번 맛보면 멈출 수 없는 특제 소스의 황금 밸런스로 닭고기 가공품 시장의 이목을 완벽하게 사로잡았습니다. 특히, 출시 두 달 만에 3만6,000팩 이상 판매되고 재구매율이 70%를 넘어서는 등 숫자로도 그 폭발적인 인기가 증명되고 있습니다. 3분에 하나꼴로 팔려나간 셈입니다. ‘안 먹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먹은 사람은 없다’는 말이 ‘꼬꼬 닭발’에 딱 들어맞는다는 평가입니다. 한강식품의 꼬꼬 닭발 2종을 기획한 노윤지 대리(PM, Product Manager)와의 일문일답을 통해 ‘꼬꼬 닭발’의 탄생 비화와 성공 비결을 자세히 들어봤습니다. <꼬꼬닭발 제품을 기획한 한강식품 노윤지 PM> Q: 꼬꼬 닭발 제품을 어떻게 기획하게 됐나요? 사실 ‘닭발’ 하면 호불호가 갈리고 다소 올드한 느낌이 있잖아요.“그렇죠. 그래서 저희는 닭발 제품을 트렌디하고 접근하기 쉬운 방식으로 새롭게 제안하고 싶었습니다. 꼬꼬 닭발 2종을 통해 ‘신선한 닭발을 활용해 조리 편의성과 맛의 완성도를 모두 갖춘 간편식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시장에서 확인해 보고 싶었던 거죠. 특히 저는 평소 한강식품이 수도권 최고의 초신선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저력과 기반을 갖춘 회사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생산하는 가장 신선한 닭고기를 재료로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 간식이자 안주인 닭발 요리 제품을 우리가 직접 제대로 한번 만들어보자고 했던 겁니다. 닭발을 구입해 가공하는 일반적인 식품제조가 아니라 우리가 직접 갓잡은 닭으로, 그래서 원재료인 닭발이 가장 신선할 때, 그 닭발로 만드는 요리의 맛은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직접 원재료를 생산해 가공하는 것과 어떻게 생산됐는지 모르는 재료를 구입해 가공식품을 만드는 것은 천양지차일 수밖에 없습니다. 닭고기 전문 회사인 우리만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장점인 셈이죠. 또한 닭발은 특정 계절에 소비가 집중되기보다 연중 트렌드가 이어지는 제품이라 잘만 만들면 스테디셀러로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고물가 시대가 계속되면서 닭발 요리조차도 가격이 크게 올라 배달 주문이나 외식이 부담스러운 가격대가 되었잖아요. 닭발 요리를 좋아하는 고객들이 상대적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대로 집에서 직접 요리해 먹을 수 있는 제대로 된 닭발 요리를 만들어보자는 데 저희 팀원들이 의기투합했습니다. .video-wrapp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 16:9 비율 유지 */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880px; /* 최대 너비 제한 */ margin: 0 auto; } .video-wrapper iframe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2025.07.14

      NEWS
      뉴스룸 바로가기